2025/07/30 2

인천 항만 근처 거주자를 위한 해일(쓰나미) 대응 매뉴얼

해안도시는 예고 없는 재난 앞에 더 취약하다해일(쓰나미)은 먼 나라 이야기처럼 느껴질 수 있다. 일본, 인도네시아, 칠레 같은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특수한 재난처럼 생각되기 쉽지만,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는 동해 및 서해 인접국에서 해일이 발생할 경우, 인천 역시 그 위험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다. 특히 인천은 대한민국 서해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도시이자, 수도권 물류와 항만 기능이 집중된 곳이다. 또한 영종도, 월미도, 연안부두, 송도, 청라 등 다수의 해안 거주지가 해수면과 매우 가까운 지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해일 발생 시 물리적 피해가 극심할 수 있다.전문가들은 “동해에 지진이 발생해도 서해 해역에 반사파로 인해 해일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경고하고 있으며, 2023년 국립해양조사원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재난 대비 2025.07.30

제주도 화산 분출 비상 대피 계획과 지역 특화 생존 키트 구성법

잠든 화산이 깨어날 가능성, 제주도는 결코 예외가 아니다제주도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아름다운 풍경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관광지이자 거주지이다. 하지만 이 섬은 단순한 관광 명소가 아니라, 과거 수차례 화산 활동을 겪은 활화산 지형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특히 한라산은 현재 ‘활동 가능성 있는 휴화산’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는 수십 개의 기생 화산(오름)들이 존재한다.최근 일본 구마모토의 아소산, 인도네시아의 메라피 화산 등 아시아권에서 활발한 화산 활동이 이어지며, 제주도도 지질학적으로 활성 지대에 속한다는 사실이 학계와 언론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2023년과 2024년 제주 서귀포 해역에서 발생한 연속 지진과 미세한 지각 활동도 이에 대한 경고일 수 있다.물론 당장 화산이 분출할 ..

재난 대비 2025.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