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3

전북 농촌 지역 폭염 및 정전 대비 생존 전략 – 2025년 여름 기준 현실적 매뉴얼

전북 농촌, 더위와 전기 없는 이중고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매년 여름, 대한민국은 더워지고 있다. 특히 2024년과 2025년 연속으로 전북 지역에 폭염 경보와 열대야 현상이 20일 이상 지속되면서, 농촌 주민들의 건강과 생계에 큰 타격이 발생했다. 도심과 달리 냉방 시설이 부족한 농가, 고령자가 대부분인 외곽 마을, 외부와 단절된 산간 지대에서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생존의 문제가 된다.더 큰 문제는, 폭염과 함께 발생하는 정전 사태다. 노후 전봇대, 과부하된 전력선, 폭염에 따른 전력 사용 급증 등으로 인해 일시적인 정전이 자주 발생하거나, 3시간 이상 전력 공급이 끊어지는 사례도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이때 냉방기기는 물론, 식수 펌프, 환기장치, 병원·약국 정보조차 차단되면서 고립된 ..

재난 대비 2025.07.31

경상도 공단 지역 근처 유해물질 누출 사고 시 대피 절차와 필수품 체크리스트

우리 주변의 조용한 위험, 화학사고는 예고 없이 찾아온다‘화학물질 유출’ 혹은 ‘유해가스 누출’이라는 단어는 뉴스 속 산업단지의 사고 장면에서나 보던 단어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지금 이 순간에도 대한민국 곳곳의 공단 인근에서는 화학물질이 취급되고 저장되고 있으며, 예상치 못한 사고로 인해 지역 주민들이 대피하거나 건강 피해를 입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특히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지역의 산업단지는 화학·석유화학·제약·금속 가공 등 유해물질을 다루는 시설이 밀집해 있어, 대기오염, 화재, 누출, 폭발과 같은 복합 재난에 노출되어 있다. 울산 석유화학단지, 구미 국가산단, 창원 산업단지, 포항철강단지 등은 대표적인 고위험 지역이다.2022년 울산 온산공단에서는 염화수소 가스 누출로 수십 명이 병원에 실려..

재난 대비 2025.07.31

강원도 산악지대 주민을 위한 산사태 대비 및 생존 키트 체크리스트

산이 아름답다고 해서 항상 안전한 건 아니다강원도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산악 지형을 가진 지역이다.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을 비롯해 중소형 산과 계곡이 무수히 많은 이 지역은, 사계절 관광지이자 자연 친화적 삶의 터전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또 거주한다. 하지만 아름다운 풍경 이면에는 늘 자연재해의 위험이 공존한다. 특히 매년 여름철 집중호우나 태풍 시기에는 산사태, 토사 붕괴, 급경사지 붕 사고가 반복되고 있으며, 그 피해는 점차 커지고 있다.2022년과 2023년에는 강릉·양양·속초 일대에서 실제 산사태로 인해 주택이 매몰되거나 도로가 유실되는 사고가 발생했고, 몇몇 주민은 고립되거나 긴급 대피하는 상황을 겪기도 했다. 문제는 산사태는 예고가 있더라도 실제 발생 시에는 대응 시간이 매우 짧고,..

재난 대비 2025.07.31